반응형
고정금리
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하며
변동금리란 일정 주기별로 시장금리를 반영하여 약정금리가 변동하는 금리를 의미한다.
예를들어 만기 1년, 약정금리는 4%의 고정금리라면
약정기간 1년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%이다.
반면 만기 1년, 변동주기 3개월, 약정금리는 CD금리+0.5%(또는 50bp)의 변동금리 라면 3개월에 한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금리가 변하게 된다.
예를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 시 3.0%, 약정 3개월 후 3.2%, 6개월 후 3.5%, 9개월 후 4.0%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 시 3.5%, 약정 3개월 후 3.7%, 6개월 후 4.0%, 9개월 후 4.5%가 된다.
자금 차입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고정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변동금리를 이용하는것이 유리하다.
주요선진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, 양적완화 축소 등 글로벌 금융긴축으로의 전환이 우리나라에도 시장금리 상승을 야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 차입자의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고정금리대출을 장려하는것도 이런이유 때문이다.
일반적으로 동일만기에서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 보다 높은데 이는 자금 대여자(은행)에게 약정 기간 중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 프리미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.
반응형
'경제금융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7. 골디락스경제 (0) | 2022.12.03 |
---|---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6. 고통지수 (0) | 2022.12.03 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4. 고용률 (0) | 2022.12.01 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3. 경상수지 (0) | 2022.11.30 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2. 경기동향지수 (0) | 2022.11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