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단기금융시장
단기금융시장(money market)은 금융기관,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단기적인 자금수급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하여 통상 만기 1년 이내의 단기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이다.
이 시장은 기업의 시설 자금이나 장기운전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되는 주식, 채권 등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에 대응하여 자금시장이라고도 불린다.
현재 우리나라 단기금융시장에는 콜시장, 기업어음(CP)시장, 양도성 예금증서(CD)시장, 환매조건부채권매매(RP)시장, 전자단기사채시장, 통화안정증권시장(만기 1년 이내) 등이 있다.
이 시장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파급되는 시발점이 되는 시장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.
중앙은행의 정책금리 변경은 단기금융시장 금리 변화를 통해 장기금리 및 금융기관 예금, 대출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생산, 물가 등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친다.
일반적으로 단기금융시장이 발달되어 있으면 활발한 재정거래를 통해 통화정책의 파급효과가 원활히 이루어 진다.
이외에도 단기금융시장은 단기자금을 손쉽게 조달하거나 운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주체들에게 일시적인 단기자금 수급 불균형에 따른 유동성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며,
단기금융상품은 만기가 짧아 장기금융상품에 비하여 금리변동위험이 크지 않고 유동성도 높으므로 금융상품 보유에 따른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도 한다.
반응형
'경제금융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22. 대체재 (0) | 2023.01.13 |
---|---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21. 대외의존도 (0) | 2023.01.12 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19. 낙수효과 (0) | 2023.01.10 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18. 기회비용 (0) | 2023.01.09 |
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96개 - 17. 기축통화 (0) | 2023.01.06 |